본문 바로가기

재작년에 엔화 환율 투자 망한 사람의 전망

성실한 자유 2025. 4. 5.
반응형

엔화 환율 투자 전망

 

보통 환율하면 해외여행 가실 때 특히 많이 신경을 쓰게 되는데요. 저 같은 경우는 과거에 다니던 회사부터 지금까지 수출을 주로 하는 회사였기에 환율을 거의 10년 이상 매일 보고 살 수밖에 없는 환경이었습니다. 반 농담 삼아 환율이 올라가면 회사 분위기 좋아지고 환율 내려가면 회사 분위기 나빠지고 할 정도였으니까요.

그러다가 작년에 엔화 환율이 갑자기 미친 듯이 떨어진 것 기억하시나요? 갑자기 일본여행 붐이 불었던 바로 그때입니다. 그렇게 떨어지자 작년에 가장 많은 금액이 들어간 투자처가 엔화였습니다. 30년 새에 가장 낮은 엔화 환율에 참기 힘들었죠. 그 결과는 어떻게 되었을까요? 그 결과와 함께 현재 엔화가 요동치고 있는데 그 이유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1. 재작년에 엔화 환율 추이

5년 엔화 환율 추이

 

위의 그래프는 5년 동안 엔화 환율의 그래프입니다. 5년 내내 꾸준히 내려가다가 2024년 말부터 반등중입니다. 제가 투자할 때가 2023년 언저리였는데 1,000원대 위에 있던 엔화 환율이 950원 밑으로 내려가다가 940원까지 왔던 때였습니다. 그러면서 여기저기 뉴스에서 엔화가 30년 내 최저치라는 소식을 듣자 그때까지 잘 버텨왔던 예적금의 돈을 엔화를 사기 시작합니다. 940원대와 930원대에 주로 사면서 평단가가 930원대 초반이 되었죠.

환투자를 해 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환율은 세금이 없는 투자처입니다. 예적금 이자 받으면 15.4% 이자를 내야 하지만 환율은 법적으로 세금이 없기에 그런 면에서는 상당히 좋은 투자처죠. 하지만 그래프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그렇게 시작한 투자는 괴로웠습니다. 2~3개월이면 반등이 올 줄 알았지만 생각보다 시간은 상당히 지체되었습니다.. 그때 넣어두었던 예금의 금리가 3%대였기에 그 이상의 환차익이 필요했거든요. 그러다가 언제 팔았을까요?

2. 계엄선포와 함께 환율 폭등?

제가 엔화를 판 때는 바로 계엄선포가 난 2024년 12월이었습니다. 늘 그랬듯이 퇴근후에 환율을 보고 있는데 갑자기 거의 20원이 오르는 겁니다. 무슨 일이 있나 하고 TV를 틀었더니 계엄이 선포되었다는 겁니다. 무슨 일인가 찾아보면서 계속 환율이 오르는데 계속 오르지 않았던 엔화 환율이 순간적으로 970~980원이 되더라고요. 그동안 기다린 시간도 길었고 이 정도 환율이면 3% 이상의 수익이 되었기에 그때 한 번에 쫙 팔았습니다. 나라걱정이 되면서 엔화 투자를 익절 할 수 있어서 안도할 수 있었죠.

3. 엔화 상승은 왜?

  • 안전자산인 엔화

혹시 최근에 엔화 환율 보신 적 있으신가요? 4월초인 지금 990~1,000원대 육박하고 있습니다. 엔화가 현재 상승하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트럼프의 관세정책이라고 뉴스에서 많이 하는데 왜일까요? 제 생각엔 위의 계엄선포와 비슷한 이유가 하나 있습니다. 바로 엔화가 세계에서 손꼽히는 안전자산이기 때문인데요. 해외에서 안전자산이라고 하는 화폐는 달러와 엔화, 유로화 정도가 있는데, 유로화 역시 1,400원대 중후반에서 현재는 1,600원대에 다다르고 있네요.

트럼프의 관세정책은 전세계를 불확실성의 세계로 밀어 넣고 있습니다. 매일 뉴스에 전 세계 경제가 요동을 치고 있죠. 이럴 때 안전하지 않은 국가들의 화폐는 요동을 칩니다. 우리나라 원화만 봐도 그렇죠. 그렇기에 조금 더 안전한 달러나 엔화, 유로화를 많은 사람들이 원하게 됩니다. 그러니 엔화의 가치는 올라가게 되고 환율도 올라가게 되는 거죠.

  • 일본 중앙은행의 금리 인상 확률

이와 더불어 일본은행이 5월 1일로 예정된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올릴 수 있다는 이야기가 두 번째 원인이라고 보이는데요. 가장 큰 확률은 7월의 금리인상설이지만 5월에도 할 수 있다는 이야기가 들려오는 이유가 있습니다. 바로 일본의 물가상승입니다.

혹시 최근에 일본의 쌀값이 급등했다는 이야기 혹시 들어보셨나요? 다른 것도 아니고 쌀이 너무 비싸서 사람들이 힘들어하고 있다는 소식이 있었습니다. 수요와 공급 측면에서 큰 이유들이 하나씩 들리는데요. 먼저 수요는 엔화가 급격하게 싸지면서 해외에서 많은 사람들이 와서 쌀값이 급등했다는 이야기였습니다. 물론 아주 많이 왔을 수 있겠지만 그렇다고 쌀값이 비싸졌겠나 싶다는 생각이 들었고요. 두 번째는 일본은 쌀 공급을 계속해서 줄이도록 정책을 피고 있다더군요. 아무래도 쌀농사를 짓는 노인들의 숫자는 줄고 그로 인해서 쌀가격을 유지하지 않으면 농사를 떠나는 사람들이 많기에 그런 정책을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렇듯 물가가 오를 때 정부에서 가장 하기 좋은 정책은 바로 금리인상이죠. 금리인상을 하면 왜 엔화 환율이 오를까요? 보통 은행에서 금리를 더 준다고 하면 은행에 돈을 더 넣게 됩니다. 그러면 시중에 있는 엔화의 양은 줄어들게 되고 엔화를 사는 입장에서는 줄어들었으니 더 비싸게 사야 되는 거죠. 그러면서 환율이 올라가게 됩니다. 

4. 앞으로의 엔화 전망은?

현재 엔화의 환율 상승은 트럼프의 관세정책이 일시적인지 아니면 지속될지가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합니다. 일시적이라면 현재의 환율은 내려갈 것이고, 기간이 지속된다면 계속 높은 환율이 유지될 수 있죠. 많은 사람들이 처음에는 트럼프가 일시적으로 관세정책을 쓸 것이라 예상했지만, 현재 분위기는 그렇지 않습니다. 연일 경제분야 뉴스는 관세로 덮여 있죠. 그렇다면 엔화는 당분간 높은 수준을 계속해서 유지할 확률이 높습니다.

이 이야기를 미국의 유명한 투자은행인 골드만삭스 역시 하고 있습니다. 트럼프의 관세 리스크를 방어하려면 엔화를 사라고 블룸버그가 보도를 했습니다. 현재보다 환율이 7~8% 더 올라갈 수 있다고 판단하며 엔화의 가치가 더 커질 수 있다고 이야기하고 있네요.

그렇다면 두번째 이유인 일본은행은 기준금리를 올릴 수 있을까요? 일본은행의 기준금리 변경 시점의 가장 높은 확률은 바로 7월에 있다고 위에서 한 번 언급했는데요. 그 이유는 선거가 6,7월에 있기 때문입니다. 선거가 있기 전에 금리변화를 많이 하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특정 정당을 밀어주는 분위기를 풍길 수 있어서입니다. 하지만 이것도 일본의 물가보다 중요하진 않겠죠? 그래서 일본의 물가가 계속 상승하지 않는다면 환율이 급격하게 오르지는 않을 것이고, 계속 상승한다면 지금도 많이 오른 환율이 조금 더 오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5. 한줄 요약

  • 미국의 관세정책이 지속된다면 엔화 환율은 상승 가능성 UP
  • 일본 기준금리가 올라간다면 환율 상승 가능성 UP

6. 엔화 관련 Q&A

  • 일본 여행 갈 때 언제 엔화를 바꾸는 것이 좋은가요?

환율을 보실 때 엔화의 숫자가 낮을 때 바꾸시는 것이 유리합니다. 예를 들어 엔화 환율이 1,000원이면 일본 돈 100엔이 우리나라돈 1,000원이라는 이야기입니다. 그러니 우리나라돈으로 바꿀 때 환율이 낮으면 더 많은 일본돈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 일본은 왜 금리를 계속 낮게 유지했나요?

혹시 일본의 기준금리가 0에 가까웠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그 이유는 잃어버린 30년이라고 일컫어지는 시간이 오면서, 아무도 돈을 쓰지 않고 투자도 하지 않자 은행에 돈을 넣어도 이자를 주지 않게 된 것입니다. 최근에서 기준금리가 0.5%인데, 우리나라돈으로 100만 원을 넣으면 1년 후에 5,000천 원을 줄 정도로 아직도 낮은 이자율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