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보 블로거의 구글 SEO 분석

성실한 자유 2025. 4. 4.
반응형

초보 블로거의 구글 SEO 분석

 

티스토리에서 글을 쓰면서 많은 분들이 가장 고민하시는 것이 바로 구글 SEO 어떻게 해야 노출이 가능할까라는 일 겁니다. 저도 글을 쓴 지는 얼마 되지 않았지만 많은 유튜브와 글들을 보면서 이렇게 하는구나를 하나씩 배워가고 있습니다. 그런데 유튜브를 보던 중 구글에서 직접 발표한 검색엔진 최적화 가이드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저는 티스토리에 앞서 네이버블로그를 먼저 해서 그런지 네이버 조회수는 잘 나오는 반면 구글에서는 잘 나오지 않더라고요. 저와 비슷한 분들이 있다면 한 번 읽어보시면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이 드네요.

 

1. Google 검색 essentials

가장 먼저 눈에 띄는 단어는 구글 검색 essentials 였습니다. 구글 검색에서 표시되고 좋은 실적을 나태 내는 핵심요소라고 하네요. 구글에서도 다음과 같이 최적화가 있다고 들었는데 여기에 그 내용이 있더군요. 구글 검색에서 웹 콘텐츠의 순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들에 대해서 알 수 있었습니다.

  • 역시 제일 첫 줄은 유용하고 신뢰할 수 있는 사용자 중심 콘텐츠를 제작하라 였습니다. 보면서 유용한 건 짧은 시간에 될 수도 있지만 신뢰할 수 있는 사용자는 시간이 꽤나 걸리겠구나 생각이 들었습니다. 잘 쓰시는 분들은 며칠 만에도 구글노출이 되던데 저처럼 애매한 사람들은 잘 노출이 되지 않더라고요.
  • 그리고 또 하나 사진을 넣으면 무조건 좋지 않다는 말이 있는데요. 그 부분에 대한 것도 적혀 있었습니다. 이미지, 동영상, 구조화된 데이터, 자바스크립트 등의 다른 콘텐츠는 구글에서 페이지의 그러한 부분을 이해할 수 있도록 쓰여야 한다는 말이었습니다 글에 문맥에 필요하다면 쓸 수 있다는 말로 이해가 되더군요.

 

2. 글 쓰고 얼마 후에 검색 결과에 나오나요?

저를 포함해서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실 얼마 후에 검색이 되나요라는 질문에 대한 답변도 있었습니다. 몇 시간에서 몇 개월이 걸리는 경우도 있다고 쓰여 있고, 구글 검색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려면 몇 주 정도는 기다리라는 글이 있네요. 너무 조급하게 결과들을 보기보다는 역시 꾸준하게 묵묵하게 글을 쓰라는 말이 답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3. 구조화된 데이터를 이용해라?

구글은 URL의 단어를 기반으로 탐색경로를 자동으로 학습한다고 하면서 구조화된 데이터가 탐색경로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쓰여 있던데, 무슨 말인지 처음에는 감이 오지 않았는데요. 다시 읽어보니 위의 주소창에 URL 애기였습니다. 좋은 URL은 내 주제를 포함해서 알려줄 수 있는 것입니다. 예로 WWW. EXAMPLE. COM/주제나 내용등이 포함된 글들을 올리나는 것이었습니다. 

 

4. 매력적이고 유용한 콘텐츠는 무엇?

  • 텍스트가 일기 쉽고 체계적으로 구성 : 어디서나 들어본 말이긴 합니다. 눈에 띄는 건 철자 및 문법 오류가 없어야 한다는 이야기가 있네요. 좌측 밑에 보시면 있는 맞춤법 글 끝나기 전에 한 번 확인하시죠. 이와 더불어 긴 콘텐츠의 단락과 섹션으로 나눠서 사용자가 쉽게 페이지를 볼 수 있는 것도 요구합니다.
  • 고유한 콘텐츠 : 가장 어려우면서 가장 요구하는 것 아닐까 생각이 들었습니다. 다른 사람이 게시한 글을 가져오지 말라는 거죠. 정보성 글을 쓰다 보면 어쩔 수 없는 부분도 있는데 최대한 내 생각과 관점을 다양하게 펼쳐봐야겠습니다.
  • 최신 상태 콘텐츠 : 이전에 게시된 콘텐츠를 업데이트하라는 이야기가 있네요. 정보가 이미 뒤처졌다면 다시 수정을 해봐야겠네요. 여기에 관련이 없어진 건 삭제도 가능하다고 합니다.
  • 마지막으로 사람중심이라는 단어가 있었습니다 : 사람중심이라는 단어를 어떻게 정보성 글에 녹일 수 있을까 와 함께 정보성글만 쓰는 것이 답이 아닐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함께 들더군요.

 

5. 웹사이트 홍보하기

나의 웹사이트를 홍보하는 것도 생각보다 양이 많이 할애되어 있었습니다. 각종 커뮤니티나 소셜, 온라인 오프라인 광고, 입소문 등의 방식을 예로 들면서 말이죠. 그러면서 커뮤니티에 참여해서 미리 시간과 노력을 쌓아 허 잠재고객층의 구축하라는 이야기가 쓰여 있더군요. 아직까지는 초보이기에 홍보까지는 신경 쓰지 못하고 있었는데 조금 더 글이 쌓이고 남들에게 도움이 될만한 글이 되기 전에 각종 커뮤니티 활동도 간간히 해 봐야겠습니다.

 

오늘은 구글 SEO에 관해서 공부하면서 정리해 봤습니다. 생각과 비슷한 점도 있었지만 다른 점도 꽤 많았는데요. 검색 결과는 시간이 상당히 많이 걸릴 수 있다와 사람중심의 콘텐츠를 만들라였습니다. 장기적으로 보고 티스토리를 하라는 주변에 말에 고개를 끄덕이며, 이 글을 내 부모나 형제, 자식에게 도움이 되기 위해서 쓴다고 생각하면 노출이 잘 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여기에 더불어 시간이 된다면 홍보까지 하면 더 좋고 말이죠.

 

아직 제가 초보이기에 구글 SEO 내용을 잘 이해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그렇기에 구글 SEO를 직접 읽어보실 수 있도록 링크 남겨드리며, 여러분은 이 구글 SEO를 보시면서 어떤 생각이 드셨는지도 궁금해집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