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 PBR ROE의 뜻과 햄버가 가게 예시로 설명
반응형
뉴스와 신문을 보다 보면 PER PBR ROE 이 중에서 하나의 단어라도 아마 보신 적이 있으실 겁니다. 와이프가 신문을 보다가 이 개념은 뭐냐고 묻길래 답을 해 주었습니다.
개념 | 쉽게 말하면 | 숫자가 크면? |
PER | 주가가 벌어들이는 돈에 비해 비싼가 | 가격이 높은 상황 |
PBR | 주가가 회사 자산에 비해 비싼가 | 주식시장에서 인정하는 가치가 더 큼 |
ROE | 주주의 돈으로 얼만큼 벌었는지 | CEO가 잘하고 있네 |
그런데 이해를 하기 조금 어렵다고 하길래 쉬운 예시를 떠 올리다가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PER PBR ROE의 뜻을 알아보고 쉽게 이해하기 쉽도록 예시도 한 번 들어볼까 합니다.
예시는 햄버거 가게를 들어보겠습니다.
<햄버거 가게를 팔려고 할 때>
- 가게에 투자한 돈 (자기 자본) : 10,000만 원
- 1년 동안 번 총이익 : 1,000만원
- 내가 가게를 팔려고 내놨는데 사려는 사람은 20,000만원에 사고 싶어 함.
- 이 가게에 있는 각종 기구와 재료, 인테리어 가구 등은 다 합치면 15,000만원 정도
1. PER의 뜻과 예시
- PER는 영어로는 Price to Eanrning Ratio로 주가수익비율을 의미합니다. 주식가격을 1년 순이익으로 나눈 값을 의미하는데 이 회사가 1년에 번 돈 기준으로 비싼가 싼가를 나타나게 됩니다.
- PER = 주식가격 / 1년 순이익
- 햄버거 가게의 PER = 20,000만원(사려고 하는 사람의 가격) / 1,000만원 = 20
- 이것을 해석하면 이 햄버거 가게를 사는 사람은 20년을 해야 본전이 된다는 의미
- 즉 이익에 비해서 주가가 얼마나 비싼지를 상대적으로 나타내는 지표가 PER
2. PBR의 뜻과 예시
- PBR은 영어로는 Price to Book Ratio로 주가순자산비율이라고 합니다. 주가를 순자산가치로 나눈 값을 의미합니다.
- PBR = 주식가격 / 자산가치
- 햄버가 가게 PBR = 20,000만원 / 15,000만원 = 1.33
- 이것을 해석하며 피자가게의 가치는 15,000만원인데 이것을 20,000만원에 팔고 있다는 이야기
- 회사가 가지고 있는 자산에 비해 주가가 얼마나 비싼지를 나태 내는 지표가 PBR
3. ROE의 뜻과 예시
- ROE는 영어로 Return on equity로 자기 자본이익률입니다. 기업이 자본을 통해서 얼만큼 이익을 낸 값을 의미합니다. 부채인 대출을 받지 않고 주주들의 돈만 받아서 하기에 비용이 들지 않는 장점이 있습니다.
- ROE = 당기순이익 / 자본
- 햄버거 가게 ROE = 1,000만원 / 10,000만원 = 10%
- 햄버거 가격 1억원에 차렸는데 1년에 1,000만원을 벌었기에 10% 마진을 얻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개념 | 쉽게 풀면 |
PER | 지금이 이익으로 현재 가격까지 벌려면 걸리는 시간 |
PBR | 회사가 가지고 있는 자산에 비해 주식가격을 비교 |
ROE | 1년에 몇 %의 수익률을 냈는가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