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5 서울시 청년월세지원 주요 질문 정리

성실한 자유 2025. 4. 10.
반응형

 

2025 서울시 청년월세지원 정리

오늘은 2025년 서울시 청년월세지원을 많이 묻는 질문과 답변의 방식으로 알아보려고 합니다. 최대한 쉽게 설명하려고 글을 썼으니 처음 정책을 보시는 분들이라면 전체적으로 한 번에 정책을 이해하셨으면 합니다.

1. 서울시 청년 임대료 지원 프로그램의 대상자는 누구인가요?

주민등록상의 서울시에 거주하는 만 19~39세까지 청년이 가능합니다. 여기에 소득, 자산요건을 충족하면 지원이 됩니다.

2. 소득 및 자산기준은 어떻게 돼요?

가구당 기준 중위소득이 150% 이하, 여기에 자산은 13,000만원 이하

3. 지원 금액은 얼마고, 기간은 얼마기간 지원하나요?

지원금액은 한 달에 20만원 지원을 합니다. 최대 12개월까지 가능합니다.

4. 모든 주택이 대상이 되나요?

보증금이 8천만원 이하 및 월세 60만원 이하 건물에 월세로 거주해야 합니다. 보증금과 월세가 둘 다 있다면 환산액이 96만원 이하면 신청이 가능합니다. 만약 보증금이 있다면 5.5% 환산율을 적용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보면.

ex) 보증금 2,000만원 월세 80만원을 환산하면 : 2000만원 5.5% 계산하면 110만원에 달로 나누면 10만원이 되지 않고 80만원을 더하면 96 만원이 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대상이 됩니다.

ex) 보증금 4,000만원 월세 60만원을 환산하면 : 4000만원 5.5% 계산하면 220만원에 달로 나누면 20만원이 되지 않고 60만원을 더하면 96 만원이 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대상이 됩니다.

ex) 보증금 5,000만원 월세 70만원을 환산하면 : 5000만원 5.5% 계산하면 220만원에 달로 나누면 23만원이 되고 70만원을 더하면 96만원이 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대상이 됩니다.

5. 학생만 가능한가요?

대상은 대학생, 대학원생은 물론 취업준비생과 직장인 등 모두가 가능합니다.

6. 선정기준 어떻게 되나요?

선정기준은 임차보증금과 월세가 적을수록 그리고 소득기준 구간이 120%에 가까울수록 선정에 유리합니다.

  • 1구간 : 임차보증금 5백만원 이하이고, 월세 40만 원 이하, 소득기준 120%이하 (11,250명)
  • 2구간 : 임차보증금 1천만원 이하이고, 월세 50만 원 이하, 소득기준 120%이하 (7,500명)
  • 3구간 : 임차보증금 2천만원 이하이고, 월세 60만 원 이하, 소득기준 120%이하 (3,750명)
  • 4구간 : 임차보증금 8천만원 이하이고, 월세 60만 원 이하, 소득기준 150%이하 (2,500명)

7. 지원기간 중에 새로운 집으로 이사하게 될 때 주의해야 할 점은?

지원기간 중에 보증금이나 월세금액이 바뀌게 돼도 지원은 계속됩니다. 단지 서울이 아닌 지역으로 이사를 하게 될 경우는 지원이 중지될 수 있다는 점은 주의하세요.

8. 신청한 후에 소득이 변경되면 어떻게 되나요?

소득은 신청할 때만 확인을 하며 변경이 되더라도 계속 받을 수 있습니다.

9. 혹시 다른 지원을 받은 적이 있다면 문제가 되나요?

국토교통부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금, 전에 서울시 청년월세지원금, 주택소유자, 2,500만원 이상의 차량 소유자, 국민기초생활수급자, 서울시 청년수당 받고 있는 사람, 공공임대주택 거주자는 제외가 됩니다.

10. 정확한 정보를 더 확인하고 싶다면?

서울주거포털 상담 센터나 해당 구청 주택과에 문의하시면 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