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 나스닥 하락하다가 멈춘 이유

성실한 자유 2025. 4. 8.
반응형

미국나스닥 폭락 멈춘 이유

어제 미국장이 처음 열리자 나스닥이 미친 듯이 떨어졌습니다. 15,000대 중반이던 지수가 거의 7~8%까지 떨어지는 모습을 봄녀서 무서웠는데요. 나스닥이 폭락하다가 멈춘 이유는 무엇인지 한 번 볼까요?

1. 트럼프 관세정책 공화당 민주당 합작 법안 거부권 사용 예정

민주당 위원과 공화당 위원이 함께 대통령이 발표한 관세정책에 권한을 제한하는 법안을 행사할 수 있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오늘 의회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이 사실에 대해 만약 제한하는 법률이 나오면 대통령은 이 법안에 거부권을 행사할 것이라는 뉴스가 함께 나왔습니다. 여기서 눈여겨봐야 할 소식은 트럼프와 같은 당인 공화당 상원의원 7명 역시 이 법안에 당을 떠나서 서명을 했다는 소식입니다.

거기다 첫 발의를 할 때는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함께 하지 않는데서 사람들이 지금 이 상황에 많이 불안감을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합니다.하원의 민주당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이 국가 비상사태나 마찬가지라고 반응하며 이것을 종료하기 위한 표결에 서두르려고 노력 중에 있다고 합니다.

2. 연방준비은행 쿠글러의 말들

밤새 중요한 언급중에 또 하나가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쿠글러의 발언이었습니다. 1분기 미국의 GDP 성장률이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더 좋을 수 있다는 말과 함께 자동차 판매가 현재 좋다는 이야기도 함께 나왔습니다. 여기에 인플레이션 역시 단기 인플레이션 기대치만 상승하고 있고 장기 인플레이션이 고정이 되어 있기에 앞으로 금리인하에 대한 시그널이 조금씩 나오고 있다는 이야기도 함께 말이죠. 아마도 트럼프의 관세정책이 실제로 실행되지도 않은 시점에 미리 경기침체를 예상해서 금리를 내리지는 않을 것이라는 자세를 다시 한번 알려준 멘트들이라고 생각이 드네요.

3. 기술주 강세로 인한 반등

오늘 일부 기술주들이 일단 반등을 했습니다. 엔비디아는 3.53%, 팔란티어는 5.2%가 상승했습니다. 이렇게 반등하면서 나스닥 지수가 큰 폭으로 떨어졌던 어제 다시 상승할 수 있었습니다. 기술주들이 상승하면서 투자자들의 신뢰를 회복시키는데 도움이 되었다는 반응입니다. 비록 관세를 90일 중단 가능성이 뉴스에 나왔지만 백악관이 가짜 뉴스라고 부르자 다시 떨어지긴 했지만, 재무장관 베센트가 트럼프의 직접지시로 일본과의 무역 협상을 주도할 것이라고 발표되는 것도 한몫했습니다. 

4. 아직도 여기저기 위험이

일단 트럼프는 다른 나라는 몰라도 중국과는 관세협상을 없을 수 있다는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중국 역시 미국과 마찬가지로 34% 보복관세를 매긴다는 이야기가 나오자 오늘 트럼프는 미국이 중국에 50%까지 올린 추가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중국과는 4월 9일까지만 협상을 할 수 있고 그에 반해 회의를 요청한 다른 나라들과의 협상은 계속할 뜻을 밝혔습니다. 

이와 더불어 월스트리트의 주요 인사들은 단지 관세 자체의 문제만이 아니라 미국의 중요한 경제 동맹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평가를 하고 있습니다. 트럼프의 지지자며 억만장자인 빌 애크만 역시 주식시장이 계속 좋지 않다면 대통령이 정책을 계속 유지해 나갈 수 없을지도 모른다는 이야기를 함께 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켄 피셔, 래리핑크, 제이미 다이먼 역시 반대를 이야기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