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중국관세 125% 그외 90일동안 일단 10%만
요즘 전 세계를 흔들고 있는 트럼프의 관세정책이 오늘 중국 빼고는 모두 기본관세인 10%만 적용한다는 소식이 들리면서 미국 증시가 가파르게 상승했습니다. 나스닥은 12% 이상이 올랐고 S&P도 9% 이상이 오르면서 많은 걱정을 주었던 미국 주식시장이 다시 정상궤도에 오르는 느낌입니다.
1. 중국관세는 125%로 하지만 대화할 생각이 있어
국가별 상호관세가 시작하고 13시간만에 중국관세는 어느새 125%가 되었습니다. 처음엔 25%만 올렸던 중국관세를 다음엔 50%대, 그리고 이제는 거의 100%를 올려서 중국의 관세는 125%에 다다랐습니다. 이에 대한 중국의 반응은 맞대응을 하고 있는 중입니다. 동일한 관세를 매기면서 미국산 수입품에도 125%가 붙을 예정입니다.
이는 EU와 중국이 7월에 정상회의를 개최할 수 있다는 소식이 들리면서 미국에서도 압박을 느낄 수 있다는 분석이 있습니다. 유럽은 중국에 전기차에 대해 높은 관세를 매기면서 갈등을 유지해 왔지만 미국의 높은 세율을 부과하자 바로 중국과의 협력을 고민 중인 제스처를 보였기 때문이죠.
애초에 많은 전문가들이 현재의 상황이 오래 지속되지 못할 것이라고 예상을 했었는데, 결국 타겟은 중국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중국의 값싼 메이드인 차이나 제품들이 미국의 달러를 벌어가는 상황을 계속 보고 있지 않겠다는 것인데, 미국의 생필품들도 대부분 중국 제품이라는 것을 감안하면 서로 버티기 싸움이 될 확률이 높은 상황이죠.
이것을 타개하기 위해 미국은 일단 농민들을 먼저 구제하겠다는 검토를 하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많은 농작물, 가축, 과일 및 채소를 기르는 농부들이 가장 먼저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죠. 그러면서 장기적인 싸움을 하나씩 준비하지 않을까 보입니다.
2. 우리나라는 대부분 10%, 자동차 철강은 25%
중국을 제외한 나라들은 10%가 부과됩니다. 여기에 우리나라와 함께 미국을 상대로 무역흑자를 보고 있는 57개국에는 국가별로 상호관세를 매기게 되는데 이란 현재는 10%로 90일간은 전에 발표했던 관세를 유예한다는 소식입니다.
관세 10%도 기업을 하는 입장에서는 상당히 부담스러운 비용입니다. 첫번째는 수입을 하려는 미국회사의 입장이 부담스러워 지기에 일단 수입가격 자체를 조금 내려달라고 요청을 할 수 있고, 두 번째는 수입가격이 오르면서 미국 소비자들이 물건을 사지 않으면 수입량 자체도 줄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가격도 내리고 양도 내리면 수출을 하는 우리나라 회사들의 타격도 상당하겠죠?
여기에 우리나라의 주요 수출품인 철강과 자동차는 그대로 25%를 유지할 예정이기에, 앞으로 이 관세정책이 유지된다면 상당한 타격을 받는 건 어쩔 수 없는 상황입니다.
3. 해외의 반응은?
가장 놀라운 반응은 일본의 경우 전 국민에게 30~50만원 상당의 지원금을 계획하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참고로 현재 일본의 상황은 물가 상승이 4%대에 이르면서 쌀값까지 올라 국민들이 힘든 상황입니다. 그렇기에 전 국민 지원소식이 들리고 있는데, 이것이 가능한 이유로는 작년에 우리나라 사람들을 비롯해서 여행수지만 52조로 역대 최대 기록을 세웠다고 합니다. 비록 일본의 재정이 아주 열악한 편이지만 더 큰 침체에 빠지기 전에 먼저 선수를 치는 느낌입니다.
유럽의 EU 역시 반응이 하나둘씩 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첫 번째 관세 부과 품목으로 오렌지주스 커피, 콩, 구리, 철 등이 될 수 있다는 소식이 들리고 있습니다. 여기에 유명한 오토바이 할리데이비슨까지 말이죠. 왜 미국이 가장 먼저 농부들에게 지원을 하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기도 합니다.
4. 앞으로 우리나라는?
우리나라는 현재 대응이 없다가 어제 첨으로 권한대행이 트럼프와 통화를 했다는 소식이 들렸습니다. 하지만 그와 별개로 미국은 무역관세와 방위비를 패키지로 협상을 하겠다는 소식이 들렸습니다. 무역관세도 어려운 상황인데 방위비를 우리나라에게 더 부과하겠다는 것이죠. 작년에 미리 미국정부와 2026~2030년 방위비에 대한 협상을 완료한 우리나라로써는 당황스러운 상황입니다.
이제 곧 대선준비가 시작하겠지만 현재는 사실상 무정부 상태나 마찬가지입니다. 이번 대선에서는 다른 때보다 현재 이 관세와 미국의 방위비 인상에 대한 정책이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정부와 기업이 함께 이 상황을 잘 타개할 방법을 찾기를 기대해 봅니다.
'경제 관련 정보 > 주식&재태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생아 아기 있다면 적금 이자가 10~12%라고? (0) | 2025.04.13 |
---|---|
골디락스 뜻과 경제란 무엇? (1) | 2025.04.12 |
미국 나스닥 하락하다가 멈춘 이유 (0) | 2025.04.08 |
똑똑한 월급 관리 50-30-20법칙 이거 맞을까요? (1) | 2025.04.07 |
청년도약계좌 정부기여금 2025년 변경 금액 (1) | 2025.04.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