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서 부산까지 20분에 간다 하이퍼튜브 열차?
서울에서 부산까지 20분에 간다면 믿으시겠습니까? 서울에서 부산까지가 약 400KM로 잡고 그렇다면 시속 1200KM 달려야 가능하다는 건데 이게 정말 가능한건가요? 이 꿈의 열차의 개발한다는 소식이 들립니다. 철로 위의 비행기라고 불리는 하이퍼튜브 열차가 그 주인공인데 궁금하시죠?
0. 먼저 하이퍼튜브 열차를 알기 위해 국토교통부에서 나온 만화를 보실까요?
1. 하이퍼튜브는 무엇?
우리가 우주를 그린 영화나 드라마를 보면 둥둥 떠 다니는 것을 많이 보시죠? 이런 우주와 비슷한 진공의 공간에서 자기 부상 기술로 열차를 운행해서 전자기력으로 밀어 초고속으로 이동하는 미래 교통시스템이라고 합니다. 솔직히 비행기 타러 가면 공항까지 가는 시간에 비행기 기다리는 시간, 그리고 내리고 짐 찾는 시간을 생각하면 지금도 KTX가 더 빠를 때도 있는데요. 물론 이 시간은 서울과 부산역을 다른 역을 정차하지 않는 시간이지만, 몇 개의 역을 정차한다고 해도 1시간내에 부산을 간다면 많이들 이용하실 것 같은데요. 만약 하이퍼튜브가 생기면 항공사들 걱정되겠는데요?
2. 친환경적이며 기상영향이 적다
여기에 하이퍼튜브 열차는 태양광 패널을 통해서 얻은 에너지로 전력을 공급할 때에는 탄소배출이 0에 가깝다고 합니다. 비행기가 KM당 탄소가 285G, 고속열차가 KM당 73G, 자동차가 KM당 104G을 배출하는 것을 생각하면 미래에 환경에도 도움이 되는 교통수단이죠? 요즘처럼 기상이변이 많은 시점에는 비행기가 연착되거나 지연되면 곤란한 경우가 많은데 지하로 다니기에 큰 문제가 없겠죠?
3. 주요기술 쟁점
저도 기술은 잘 모르지만 앞으로 이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쟁점이 있다고 합니다. 가장 중요한 건 안전이기에 진공의 상태의 공간을 지나다니면서 객실내의 압력은 유지를 해야 하고 여기에 승차감까지 좋아야 하기에 차량 설계 등도 함께 필요한 기술이라고 합니다. 진공상태로 다녀야 하기에 아주 약간의 문제만 생겨도 큰 사고가 예상되지기에 이 기술에 대한 연구가 상당히 중요할 것으로 보이네요.
4. 이 열차가 생긴다면?
서울과 부산이 20분이라는 소식을 듣자마자 들던 생각은 이 열차를 개발하기 위해 모든 것을 쏟아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 이유를 하나씩 보면.
- 수도권 집중화 분산 : 현재 우리나라의 가장 큰 문제가 출산율인데, 가장 큰 이유중에 하나가 바로 부동산 가격이라고 생각합니다. 만약 부산이나 대부분의 도시들에서 수도권까지 1시간에 출퇴근이 가능하다면 많은 사람들이 가격이 저렴한 지방으로 가지 않을까요? 물론 주변 시설도 중요하지만 아직까지는 지방 대도시들에서는 살기 괜찮은 환경이니까요.
- 수출 : 해외의 대부분의 나라들이 도시 집중화 현상이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는데, 이 열차의 개발이 성공한다면 모든 나라가 서로 도입한다고 난리가 나지 않을까요? 그 뿐만 아니라 저 정도 속도면 미국이나 유럽 등에서도 서로 원할 것 같은 속도입니다.
- 수도권 도로 정체 완화 : 서울과 수도권의 경우 막히는 시간대에는 서울을 나가거나 들어오는 것 모두가 힘듭니다. 그 여파가 서울 대부분의 지역까지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그런데 장거리를 다니는 사람들의 자가용만 줄어들어도 상당히 많은 교통정체가 줄어들지 않을까 생각이 드네요.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풍 대비 5가지 방법 체크리스트 (0) | 2025.04.11 |
---|---|
일산러의 일산호수공원 벚꽃 분수대 공연시간 주차꿀팁에 맛집까지 (0) | 2025.04.11 |
백수 또는 소득이 적어 생활 어렵다면? (1) | 2025.04.09 |
영화 승부 감상평과 비하인드 스토리 (1) | 2025.04.05 |
요즘 핫한 지브리 무료 60대도 하는법 따라하기 (0) | 2025.04.04 |
댓글